[정보사업 관리감독] 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증 소개

2024. 5. 24. 17:00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증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

정보시스템감리사 소개

정보시스템감리사는 공인정보시스템감리사를 의미하는 자격으로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감리하여 의뢰인에게 상담과 함께 권고하는 직업을 말한다.

현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로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가미래를 열어가는 세계 최고의 ICT 전문기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입니다.

www.nia.or.kr

 

직무내용

정보시스템감리사의 직무내용은 정보시스템의 부실방지와 품질향상을 위해 정보시스템의 계획, 개발, 운영,

유지 보수에 관한 제반 절차 및 산출물을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하여 이해 관계자들에게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조정·권고하는 직무로 정하고 있다.

 

시험과목

정보시스템감리사의 필기시험과목은 감리 및 사업관리,소프트웨어공학,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조, 보안 5개과목이며

필기전형 합격 후 면접전형,이론교육,실무교육 등 이 있다.

 

합격기준

정보시스템감리사의 합격기준은 각 과목 40점이상인 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감리사 수급상 필요 인원수,

면접전형 위원들에 의한 평가 (평점이 보통 이상인 자), 교육 출석율 80%으로 이론교육 필기시험 만점의 6할 이상인 자,

실무교육 보고서에 의한 평가(만점의 7할 이상인 자)로 정하고 있다.

 

응시자격

정보시스템 감리사의 응시자격은 기술사, 기사 자격소지자로서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7년 이상인 자,

산업기사 자격소지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10년 이상인 자, 박사학위 소지자(정보처리분야 학위소지자),

석사학위 소지자로서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6년 이상인 자, 학사학위 소지자로서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9년 이상인 자,

전문대학 졸업자로서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12년 이상인 자,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15년 이상인 자로 규정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정보

자격명
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의 종류
국가공인 민간자격
공인번호
2020-01
자격발급기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검정(응시)료
180,000원
교육비
280만원
환불규정
접수마감 전까지 100% 환불
접수마감 이후부터 필기시험 5일 전까지 50% 환불
필기시험 5일 이내 환불 불가
필기시험 당일 본인 및 배우자의 직계가족이 사망하거나 본인의 사고, 질병 등으로 입원한 경우 50% 환불
※ 상세내용은 FAQ 참조

 

자격관리기관 정보

기관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대표자
문용식
연락처
053-230-1616 (E-Mail : auditor@nia.or.kr)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53
홈페이지
www.nia.or.kr
응시자격 및 시험출제 분야 등 자세한 사항 확인

 

자격검정 절차

 

자격검정 상세

응시원서 접수
접수방법 :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
감리사 자격검정 홈페이지(www.nia.or.kr)
필기시험 수수료 납부 : 안내 계좌로 입금
필기시험
시험과목 : 감리 및 사업관리, 소프트웨어공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구조, 보안
필기시험 합격자 선정 방법 : 전형 과목별 100점 만점에 과목별 40점 이상인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자 선정(40점 미만 과락)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한 성적확인, 합격자에 한하여 개별 통보
면접전형
면접전형 대상자 : 해당 회차의 필기전형 합격자, 이전 회차의 면접전형 탈락자로 1회의 면접전형 기회 부여자
면접전형 합격자 선정 : 면접전형 평가에 따라 합격자 선정
이론교육
이론교육 대상자 : 해당 회차의 면접전형 합격자, 이전 회차의 이론교육 탈락자로 1회의 이론교육 기회 부여자
이론교육 방법 : 정보시스템 감리를 위해 필수적인 감리관련 전문지식을 중점적으로 교육
이론교육 합격자 선정 : 이론교육 시험, 출석률에 따라 합격자 선정
실무교육
실무교육 대상자 : 해당 회차의 이론교육 합격자, 이전 회차의 실무교육 탈락자로 1회의 실무교육 기회 부여자
실무교육 방법 : 개인의 희망분야를 고려하여 감리가능 분야를 선정, 감리 실무교육 기간 중 개인별로 실무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출
실무교육 합격자 선정 : 실무 결과보고서 및 인터뷰, 출석률에 따라 합격자 선정
자격증 교부
자격증 교부 대상자 : 각 단계별 교육과정을 모두 합격한 자,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는 자

 

응시자격 요건 및 증빙서류

- 기술사 자격명 : 정보관리, 컴퓨터시스템응용 기술사

- 기사 자격명 :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정보보안 기사, 빅데이터분석 기사

- 산업기사 자격명 : 정보처리, 사무자동화, 정보보안 산업기사

- 실무경력 기간은 자격 또는 학위 취득 후부터 산정

- 해당 회차 필기시험일까지 위 자격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 서류제출대상 : 해당 회차의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제출

- 응시자격 요건별 제출 서류

구분
응시자격 요건
심의 서류
기술자격
기술사
국가기술자격 취득사항 확인서 또는 국가기술자격증(원본대조 후 반환)
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7년 이상인 자
국가기술자격 취득사항 확인서 또는 국가기술자격증(원본대조 후 반환)
경력(재직)증명서 1부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10년 이상인 자
국가기술자격 취득사항 확인서 또는 국가기술자격증(원본대조 후 반환)
경력(재직)증명서 1부
학력
박사학위를 가진 자
(정보처리분야 학위소지자)
박사학위 수여증명서 1부
석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6년 이상인 자
석사학위 수여증명서 1부
경력(재직)증명서 1부
학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9년 이상인 자
학사학위 수여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 1부
경력(재직)증명서 1부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12년 이상인 자
전문대학 졸업증명서 1부
경력(재직)증명서 1부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정보처리분야 실무경력 15년 이상인 자
고등학교 졸업증명서1부
경력(재직)증명서 1부

- 상기 제출서류 외 필요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함

- 경력증명서는 정보처리실무 경력을 구체적으로 기재(필요시 당원 소정양식 사용)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더 알아보기 ]

정보시스템감리사를 위해서 취득하면 좋은 자격증

- PMP

- 소프트웨어테스트전문가(CSTS)

- SQLD

- 정보보안기사

 

정보시스템감리 일을 할 때 도움이 되는 것은

- DAP

- SQLD/SQLP

- 소프트웨어테스트전문가(CSTS)

- 개인정보영향평가사

- 정보보안기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imhojin123&logNo=221289052128

(출처 : 임베스트)

 

정보시스템 감리사 수석감리원 연봉, 소득은?

0. 수석감리원 소득 항목

1) 급여

2) 제안서 보너스

3) 외부활동 소득

1. 감리법인에 취업 시, 근로 계약 방식

1) 정규직 full-time 계약

2) 2주 보장 계약

3) 프리

1.1) 정규직 full-time 계약

고정급여 연봉으로 계약하고, 매 월 통장에 같은 액수의 급여가 들어온다.

 

감리에 투입 되는 날은, 감리 현장에 직출하면 되고,

감리에 투입되지 않는 날에는, 감리법인 사무실로 출근해서 제안서를 쓰거나

사무실에서 대기하다가 인력 펑크난 현장에 긴급 투입 되기도 한다.

 

정규직 full-time 계약한 수석감리원은, 감리법인에 소속된다. (상근 감리원)

 

1.2) 2주 보장 계약

-감리 일이 없는 기간에는, 감리 투입 일수가 2주가 안 되어도 2주 급여를 받는다.

-감리 일이 많은 기간에는, 2주를 초과해서 근무하면, 2주급여 + 추가 근무일 만큼 더 받는다.

-감리 투입되지 않는 날에는, 다음 번 감리 투입일정 연락이 오기를 기다린다.

 

감리 업계는 년초에 일 거리가 없는 (또는 덜 바쁜) 기간이 있다.

일거리가 많든 적든, 감리법인은 정규직 수석감리원에게 4주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년초에 감리법인 입장에서는 손실이다.

 

2주 보장 계약방식은,

감리법인 입장에서 비용손실 위험을 근로자에게 일부 전가할 수 있는 계약 방식이다.

그 대신, 2주를 초과한 근무일수에 대해서는, 일일 수당을 약간 더 쳐준다.

 

연 단위 2주 보장 계약인지, 월 단위 2주 보장 계약인지 잘 살펴볼 것.

연 단위 2주 보장은, 그냥 당신을 호구로 보겠다는 뜻이다.

 

1.3) 프리

-감리법인이, 정규직 계약도 싫고 2주보장 계약도 싫은 경우.

-아니면 특이한 경력이 있어서 '전문가'로 가끔 필요하거나.

-또는, 프리한 교수님.

-감리는 취미로 하고, 본업이 따로 있는 사람.

-연차가 남아서, 연차 기간에 단기간 감리알바 해보려는 사람.

 

감리법인도, 입사지원자 나이가 너무 많으면, 대체로 full-time 채용은 달갑지 않다.

그런 경우, 이력서만 받아 두었다가, 수석감리원 인력이 부족할 때 연락한다.

 

프리는, 특정 감리법인에 소속되지 않는다. (비상근 감리원 or 그냥 전문가)

https://rubywind.tistory.com/entry/%EC%A0%95%EB%B3%B4%EC%8B%9C%EC%8A%A4%ED%85%9C%EA%B0%90%EB%A6%AC%EC%82%AC-%EC%97%B0%EB%B4%89-%EC%86%8C%EB%93%9D%EC%9D%80

 

정보시스템감리사 수석감리원 연봉, 소득은?

정보시스템감리사 수석감리원 연봉, 소득은?정보공유 차원에서, 정보시스템감리사 수석감리원의 소득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정보관리기술사, 시스템응용기술사 수석감리원도 (별다른 외

rubywind.tistory.com

(출처 : 정보시스템감리사-연봉-소득은)

 

정보시스템 감리사 QnA

– 정보시스템 감리사 얘기하기 전에, 정보시스템 감리라는 게 뭡니까?

쉽게 말해서 정보시스템을 잘 만들었나 점검하고 문제를 개선하는 활동입니다.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공공부문 IT 사업은 기본적으로 감리를 받게끔 전자정부법에 명시되어 있어요.

공공기관은 사업을 발주하고, 사업자는 구축을 진행하고, 감리법인은 감리를 하는 식이죠.

 

– 그럼 정보시스템 감리사는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는 사람이겠네요.

비슷하긴 한데, 법령에서는 정보시스템 감리를 수행하는 인력을 감리원이라고 부릅니다.

 

– 감리사와 감리원이 다른 겁니까?

감리원을 먼저 설명할게요. 감리원은 두 가지 등급이 있습니다. (그냥) 감리원과 수석 감리원이죠. 각각 자격 요건이 다릅니다.

법령에는 수석 감리원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정해져 있어요.

예를 들어 감리사업 총괄, 상주 감리는 (그냥) 감리원은 할 수 없고 수석 감리원만 할 수 있습니다.

 

– 감리원은 그렇고, 그럼 감리사는 뭡니까.

(그냥) 감리원과 수석 감리원이 각각 자격 요건이 있다고 했죠. 수석 감리원의 경우 정보기술 관련 기술사 자격이 있거나,

정보시스템 감리사 자격이 있으면 할 수 있습니다.

 

– 말하자면 감리원은 법령상 감리를 수행하는 인력을 뜻하는 거고, 감리사는 그 중 수석 감리원이 될 수 있는 자격 요건 중 하나인 건가요?

이해가 빠르시군요! 정보시스템 감리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검정을 주관하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입니다.

1년에 한 번 검정이 진행되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한국 정보화 진흥원(KISA)와는 다른 기관이니 헷갈리지 마시구요.

 

– 국가공인 민간자격은 또 뭡니까?

자격기본법에 의해 주어지는 자격 중 하나입니다. 자격기본법상 자격에는 국가가 직접 주관하는 국가공인 자격과,

민간에서 주관하지만 국가가 공인해주는 자격 등이 있습니다. 국가공인 민간자격과 그냥 민간자격은 차이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물론 민간자격이어도 그 자체로 권위를 인정받는 것들도 있긴 하지만요.

 

– 정보시스템 감리사 그거 따면 좋나요?

일단 따면 기분은 조크든요. (…) 저도 이제 막 필기전형 통과한 상태라 잘은 모릅니다.

다만 공공 IT 사업 일부에서 감리는 법적으로 필수이고 인력은 부족한 상태라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현장에는 50대 이상의 감리원들도 많아서, 뭐랄까 이 자격증이 ‘한국 IT 업계의 노후대비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사실인 듯합니다.

 

– 어떻게 하면 딸 수 있죠?

필기전형, 경력 증빙, 면접전형,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을 차례로 통과하면 됩니다.

(말하고 보니 산 넘어 산… ;;) 필기전형만 말씀드리자면 4지선다형 120문제를 120분동안 풀어야 합니다.

사업관리와 감리,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 보안, 이렇게 다섯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죠.

보안만 20문제고 나머지는 25문제씩입니다.

 

– 필기전형은 몇 점 이상이이야 합격인가요?

정보시스템 감리사 필기 전형은 상대평가입니다.

매 회차 40명이 합격자입니다. (단, 과목별 정답률이 40% 미만이면 과락) 커트라인에 동점자가 있으면 동점자까지 합격입니다.

2015년의 경우 47명, 2016년의 경우 41명이 필기합격자였습니다. 보통 800명 전후로 응시하니까 경쟁율이 꽤 높은 편인 거죠.

 

– 아무나 응시 가능합니까?

학력과 경력 기준이 있지만 증빙은 필기전형 이후에 하니까 누구나 필기시험을 칠 수는 있어요.

하지만 필기시험에 (예비)합격을 했더라도 학력과 경력 증빙을 하지 못하면 불합격 처리됩니다.

자세한 기준은 NIA정보처리감리사 사이트에서 확인하셔요.

(출처 : 뗏목지기 블로그 - 정보시스템 감리사 QnA)

공감 또는 따뜻한 댓글포스팅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이상으로 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증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정보시스템감리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